WeatherNews
WeatherNews
특보
강풍주의보 발표
운세
🎴🃏 오늘의 타로/별자리/띠별운세 확인
  •  홈 
  • 포토날씨
  • 전국날씨
  • 미세먼지
  • 영상날씨
  • 방송
  • 생활지수

#여름철필수템 #제습기 #구매가이드

2020/07/14
top
여름 무더위와 습기가 극성을 부리면서,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반 가정집에서는 찾아보기 쉽지 않던 제습기가 어느새 ‘필수가전’으로 자리를 잡아 가고 있습니다.

여름에 제습기가 왜 필요한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우리나라 기후가 고온다습한 아열대성으로 변해가고 있기 때문인데요, 여름철 비 오는 날 방바닥이 끈적끈적하고 물속에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던 경험 다들 한번쯤은 있으시죠? 더운데 습도까지 높으니 체감온도도 더 높아지고요.

여기서 잠깐. 습도가 5%만 감소해도 체감온도가 1도 감소한다고 하는데요, 습도가 높은 비 오는 날에 제습기를 켜면 실내 적정습도인 40~60%를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 체감온도를 낮춰줘서 쾌적한 실내를 만들어줍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제습기를 잘 고를 수 있을까요? 함께 보시죠!

STEP 1. 평수별 용량 고르기

box0
제습기의 용량은 상세페이지에 ‘일일제습량’으로 표기됩니다. 해당 제습기가 24시간 동안 제거할 수 있는 습기의 양을 말하는 것인데요, 어려운 계산식이 있지만 여러분들은 일일이 계산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평수에 맞는 용량을 정리해봤거든요.

◎미니제습기 1
추천공간: 옷장 속, 욕실
평수(면적): 1평 미만(~3㎡)
추천 일일제습량: 0.3L

◎미니제습기 2
추천공간: 방(침실, 옷방) 혹은 원룸
평수(면적): 1~5평(3.3~20㎡)
추천 일일제습량: 0.6L~0.75L

◎대용량제습기 1
추천공간: 원룸 혹은 10평대 아파트의 거실~부엌
평수(면적): 6~9평(21~33㎡)
추천 일일제습량: 6~8L

◎대용량제습기 2
추천공간: 20평대 아파트의 거실~부엌
평수(면적): 10~14평(34~48㎡)
추천 일일제습량: 10L

STEP 2. 물통 용량 확인하기

box1
위에서 알려드린 ‘일일제습량’과 ‘물통용량’은 별개입니다. 일일제습량은 제습기가 하루 동안 제거할 수 있는 양을 말하는 거고, 물통용량은 제습기가 모은 물을 담는 물통 자체의 용량을 뜻하는데요, 그래서 제습기 상세페이지를 보면 일일제습량과 물통(물탱크)용량이 따로 쓰여 있습니다.

물통용량을 추천하자면, 무조건 큰 게 좋은데요, 물통용량이 너무 작으면 자주 비워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물통을 비워주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모든 제습기에는 ‘수위감지기능’이 있어 물통용량이 꽉 차면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는데요, 즉 제습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는데 물통이 다 찼다는 이유로 중간에 멈춰버리는 거죠.

◎미니제습기 1
일일제습량: 0.3L
최대 물통용량: 1.5L

◎미니제습기 2
일일제습량: 0.6L~0.75L
최대 물통용량: 2L

◎대용량제습기 1
일일제습량: 6~8L
최대 물통용량: 2L

◎대용량제습기 2
일일제습량: 10L
최대 물통용량: 3L

◎대용량제습기 3
일일제습량: 14~15L
최대 물통용량: 5L

STEP 3. 부가기능 살펴보기

box2
일일제습량도 골랐고, 물통용량도 확인했다면 마지막으로 부가기능을 살펴볼까요? 지금부터 알려드리는 기능들은 모든 제품에 있는 건 아니지만, 이 중에 하나라도 있다면 삶의 질이 올라가는데요, 여러분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따라 선택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소음 작은 제습기 찾는다면: 50dB 미만인지 체크
보통 제습기가 작동할 때 소음은 약 50dB 정도로 조용한 사무실 혹은 냉장고 돌아가는 소리와 비슷합니다. 제습기를 틀어 두고 방문을 닫으면 크게 거슬리지 않을 정도의 소음이죠.
하지만 따로 닫을 문이 없는 원룸이라면 신경 쓰일 수 있는데요, 이럴 땐 상세페이지에 기재된 소음이 30~45dB 사이인지 확인하거나, '저소음 제습기'를 찾아보세요.

◎겨울에도 200% 활용하려면: 작동온도범위 체크
제습기에는 제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일정한 실내온도가 정해져 있어요. 보통 이 범위는 15~40℃ 수준이어서 실내온도가 15℃ 밑으로 내려가는 한겨울에는 제습기를 틀어도 제습이 잘 안 되곤 하는데요, 하지만 결로가 심한 집이라면 겨울에도 제습기를 틀어야 하기 때문에 이 범위가 5~50℃로 넓어야 좋습니다.

◎방이나 원룸의 미세먼지 잡으려면: 공기청정기능 체크
요즘에는 제습기에 공기청정기능이 추가된 '공기청정제습기'도 있습니다. 방이나 원룸에서 쓸 미니제습기라면 가격 차이도 별로 크지 않으니 공기청정 제품으로 구매하는 것이 좋지만, 거실에 두는 메인 공기청정기로 쓰기에는 아직 부족한 점이 있습니다. 실제 공기청정면적을 정확히 기재해둔 제품이 별로 없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방이나 원룸이 아닌 거실에 둘 메인 공기청정기는 제습기와 따로 구매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사작성: 웨더뉴스 뉴스편집팀